브리의 성장기

[TIL] 230203 본문

카테고리 없음

[TIL] 230203

브리(BRIE) 2023. 2. 4. 00:07
728x90

😃 TIL #230203

 

스파르타 코딩클럽 SWCamp

 

오늘은 5주차 웹개발 미니 프로젝트 중간 점검의 날이었다.

프로젝트에 대해 짧게 말하자면, 요즘 유행하는 심리테스트에서 착안, MBTI 이상형 월드컵 웹게임을 만드는 중이다.

(관련 회고는 프로젝트 이후에 다시 정리해볼 예정. 정말 짧은 시간이지만, 정말 느낀바가 많았다.)

 

9년째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계신 멘토님께서 정말 영광스럽게도, 프로젝트에 대한 상세한 대면 멘토링을 진행해주셨다.

책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섬세한 조언들이었다. 좋은 피드백을 많이 받아 다시 고민해보기로 했다.

좋은 멘토님, 좋은 선배를 만나는 것은 너무나도 큰 행운이다! 그 중 남기고 싶은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 IA 그릴 때 참고할 것

 - IA 의 본질적인 목적은 문서 한 장으로 개발자를 이해 시키는 것이다.(*****)

 - 불필요하거나 중복되는 내용은 과감히 삭제

 - 개발자의 입장에서/내 프로젝트를 처음 접하는 사람 입장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이 핵심

 - 유저에 따라 권한이 차등 부여될 때, IA 항목에 '권한' 열을 생성하자. O/X 로 쉽게 표시 가능함

 - 멘토님이 아래에 간단하게 IA를 수정해주셨다.

 

(AS-IS) 중복되는 불필요한 부분이 많고, TMI 작렬이다.
(TO-BE) 신기했던게, 주요기능-형태를 분할해주셨다. 형태를 나누니 훨씬 직관적으로 이해가 쉽다.

 

 

💡 와이어프레임 그릴때 참고할 것

 - 기획자는 디자이너가 아니다.(*****) 그저 직관적으로 핵심을 표현하자. 디자인에 너무 신경쓰지 말 것.

 - 해당하는 컴포넌트에 자세하게 디스크립션을 넣자. 

 - 사용자의 입장에서 써본다고 생각해보자. 사용자를 위하는 디자인적 요소는 많이 들어가줘야 한다.

   (ex) 링크 공유하기 버튼 클릭 시 >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알람 띄우기

 

 

💡 기획할 때 어디까지 생각해야하나?

 - 정말 사소한 것 하나하나 다 생각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항목의 정렬은 어떻게 할건지. 데이터는 DB에 저장할건지 아니면 하드코딩(?)으로 밀어 넣을건지. 등등등. 모든 경우의 수를 생각하고 치열하게 고민해야 하는 것이 기획자의 일이다.

 - 그리고 그것을 문서화 하는것은 매우 중요. 

 - 문서화 툴은 내가 작성하기 편하고 협업자들에게 공유하기 쉬운 것이면 상관 없다. 멘토님은 노션/엑셀을 주로 쓰신다고 함.

 

 

💡 그 외에 다양한 궁금증 해소 답변

 - IT 지식은 부딪히며 습득하셨다고 한다. 1차 구글링해보고 > 이해가 안가면 바로 개발자에게 가기.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체화시키기.

 - 주니어 기획자는 많지 않다. Domain Knowledge 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 처음에는 오퍼레이터의 경험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 나는 어떤 규모의(큰/작은) 조직에 들어가 기획하는 것이 적성에 맞을지 고민해보기. 생각보다 업무 차이가 크다.

 - 궁극적으로 나는 어떤 기획자가 되고 싶은가.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