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처음부터다시배우는웹기획
- 기획자도서추천
- AICEBASICE
- 코린이독학
- SW캠프솔직후기
- sql독학
- SW캠프장점
- SQL
- 도그냥강연
- 기획공부
- AICE시험후기
- 서비스기획스쿨
- css독학
- 기획자책
- 생활코딩html
- 피그마
- 생활코딩
- 웬즈데잇
- SQLD공부방법
- 도그냥
- html독학
- Til
- SW캠프단점
- SW캠프비전공자후기
- 스파르타코딩클럽
- css생활코딩
- 이미준PO
- HTML공부
- 기획관련도서
- html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94)
브리의 성장기

😀 TIL # 230313 1. 사이드 프로젝트 서비스 런칭 준비 지난 2주간 사이드 프로젝트를 준비했다. MVP 설정 후 PRD 를 작성하고, 여러 정책들을 살펴봤다. 후후. 지금은 airtable 로 DB를 짜고, 노코드툴 softr 을 이용하여 플랫폼을 만드는 중이다. 자체 개발 후 QA 까지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라 삐그덕 거리면서 나아가긴 하지만, 차근히 하나하나 짚어가며 진행중이다. softr 로 모든 페이지는 개발된 상태고, 내일 중 디자인 부분을 개선하면 배포 후 본격적인 마케팅에 돌입할 것 같다. 😊 2. "크몽" 프로덕트 리서칭 진행 1) 급 부상하고 있는 긱 이코노미 시장에 대한 이해를 얻고 싶고 2) 크몽을 종종 사용했는데 나는 왜 여러 플랫폼 중 크몽을 선택했고, 어떠한 부분에서 만..

왜 자꾸 IT 입문서를 읽느냐 라고 질문한다면, 읽을 때마다 새롭게 다가오기 때문 ? 저번 달 읽은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 은 현업에 필요한 워딩만 쏙쏙 뽑아 설명한 책이라면, 이번 달의 얄코 책은 CS 전공 지식이 종합적으로 정리되어 있는 책이다. 개념들을 재정립하며 술술 읽었다. 이번달도 이렇게 IT 용어들과 더욱 친해지는 중! ☺️ 얄코 책은 이번 달 초에 이미 다 읽었고, 지금은 모 멘토님이 추천해주신 '로지컬 씽킹' 을 정독 중이다. 이 책을 통해 말 그대로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기르고 싶다. 틈틈히 읽어 다음달 중으로 완독할 수 있도록 해보자, 가보자구 !!

😀 TIL # 230209 열심히 머리 빙빙 굴려가며 와이어 프레임 그리던 중 문득 캡처 회사에서는 작은 기능의 서비스만 개선해가는 업무를 진행했었는데, 이번 토이 프로젝트는 범위가 좀 다르다. MVP 잡고 정말 작은 기능만을 구현한다고 하더라도, 신규 서비스 하나를 만들어 낸다는 것은 엄청나게 머리를 굴려야 하는 일이다!! 유저 플로우도 계속 점검해야 하고, 기존 방향성을 잃지 않도록 정책서와 회의록도 들락날락 거리며 읽어봐야 한다. 나는 방금 '유저가 호스트의 모임에 참가할 수 있는 플로우' 를 그리는데 장장 두시간이 걸렸다. 단순한 한줄기 플로우처럼 보여도 가까이서 보면 1. 참가 프로세스 중간중간 재확인 모달이 들어가야 하고 2. 유저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부가 설명이 꼼꼼히 명시되어야 하며 ..

애자일(Agile)한 방법으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Product Requirement Document, PRD(제품 요구사항 문서)를 활용한다. PRD는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기능이 고객의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지를 정리한 문서다. 기업은 PRD를 통해 고객이 제품을 통해 얻는 경험과 이로움이 무엇인지 총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PRD는 제품 개발의 시작점! 💡 PRD 작성 전 고민해야 하는 지점 1.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2. 왜 이 제품을 만들어야 하는가? 3. 제품 개발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무엇인가? 4. 목표 달성을 위한 검증 지표는 무엇인가? 💡 PRD 작성 법 ' 작성법은 기업이나 PM 재량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 1. 개요 제품을 개발해야 하는 근거를 제..

BCG 매트릭스(BCG Matrix) BCG는 기업이 사업에 대한 전략을 결정할 때 '시장점유율'(Market Share)과 '사업의 성장률'(Growth)을 고려한다고 가정했다. 이 두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사업을 네가지 요소로 분류했다 스타(Star) 사업 성장률과 시장점유율이 높아서 계속 투자를 하게 되는 유망한 사업이다. (육성사업) 현금젖소(Cash cow) 사업 점유율이 높아서 이윤이나 현금흐름은 양호하지만 앞으로 성장하기 어려운 사업이다. (합리화사업) 물음표(Question Mark) 사업 신규사업. 상대적으로 낮은 시장점유율과 높은 성장률을 가진 사업으로 기업의 행동에 따라서는 차후 스타(star)사업이 되거나, 도그(dog)사업으로 전락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일단 투자하기로 결정한다면..

상황 : 매일 해야 하는 정기 업무가 생겼다 (생 노가다) 상황을 좀 더 상세히 풀어보자면, 1. '업체명' 기준으로 엑셀 데이터를 분할 해야 한다. 2. 데이터는 각각의 시트로 분할하면 된다. 3. 1개 엑셀 파일 당 업체는 10개 내지 20개 이다. 4. 매일 5개 이상의 엑셀 파일 분할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즉, 매일 매일 최대 100개 의 업체별 시트를 생성해야 한다는 것? 수작업으로 진행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되면 문제가 생긴다. 1. 너무 많은 업무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대략 일일 30분 ~ 1시간 정도. 너무나도 아까운 시간이다. 2. 한 개 시트에 두 개 업체가 포함되는 등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정 키워드(=업체명)을 토대로 엑셀 시트를 나눠주는 매..

😀 TIL # 230209 스파르타 코딩클럽 SWCamp 웹개발 프로젝트 마무리 장장 두 달간의 미니 웹개발 프로젝트가 끝이 났다. 🙌 기획 부터 개발 까지 짧은 기간동안 직접 경험해볼 수 있어 뜻 깊은 시간이 었다. 이번에 진행한 미니웹개발 프로젝트의 목적은 ‘독창적인 기획’이 아니라 개발을 실제로 진행하고 구현해보는 그 ‘과정’과 실행의 ‘완료’에 있다고 판단 했다. 따라서 '구현이 간단하고 구성원들의 이해도가 명료한가'에 중점을 두어 아이템을 선정하게 되었다. 반나절간의 치열한 회의 끝, 요즈음 핫한 MBTI 와 이상형월드컵 에 착안하여 '당신이 어쩔 수 없이 끌리는그 사람의 MBTI 💕' 라는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1) AI가 그린 각 MBTI 의 얼굴을 토대로 이상형 월드컵을 진행할 수 있고..

😀 TIL # 230208 모바일웹 리뉴얼 프로젝트 마무리 장장 두달간 짬짬히 신경써서 진행한 회사 모바일웹 리뉴얼 프로젝트가 마무리 되었다. 모바일 기기에서 웹사이트로 인입되는 사용자가 전체의 20% 가량 되는데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버전에 최적화 되어 있지 않아 고객 전환에 크리티컬 하다고 생각했다. 작디작은 내부 리소스 고려하여 기획-디자인-개발은 두 달로 예정했다. 지금까지 일정대로 완성된 적은 한번도 없었기에 이번에도 큰 기대는 없었으나, 다행이도 일정 준수하여 잘(?) 진행 되었다. 전 주에 모바일웹 오픈 공지도 올렸고, 이번주에 마지막 잔존결함도 수정하여 정말 끝인듯 하다! 💡 이번 프로젝트로 새로이 알게된 것 1. 무료 QR 코드 생성 (URL → QR) 어도비 사이트 https://www..